자율주행 자동차가 머지않아 현실화될 것이라는 기대가 점차 커지고 있다. 그런데 우리는 자율주행 트럭, 열차, 또는 선박 등을 자율주행 승용차보다 먼저 시장에서 만날 지도 모른다. 긍정적으로 본다면, 화물 운송산업에 자동화 기술이 도입된다면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는 여러 분야의 산업에 좋은 소식이 될 것으로 보인다.
오스미 박사는 2016년 노벨생리의학상의 영광을 안았다. 최근 몇 년간 오스미 박사는 GE헬스케어 라이프사이언스에서 제조한 혁신적인 현미경을 연구에 활용하고 있었다. 이 연구는 연구팀의 추후 작업을 위한 토대가 되었는데, 정교한 현미경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자가포식에 대한 본격적인 학문적 연구도 가능하게 된 것이다.
세포치료는 변화하는 부분이 많고, 이들 사이의 연계는 결함 없이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환자들 대부분은 여유 시간이 거의 없으며, 치료 과정에서 정확함과 속도는 종종 생과 사의 문제가 되기 때문이다. 세포치료를 상업화하고자 한다면 세포 채집, 운송에서 DNA 수정, 치료 결과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원활히 추적하고 연결할 수 있는, 국가적이고 나아가 전세계적인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사물인터넷은 저렴한 마이크로 센서, 마이크로 프로세서, 그리고 소형 전원공급 장치와 무선 안테나 기술을 활용하는 것으로 컴퓨터와 모바일 기기 등의 온라인 세계를 온도조절장치, 자동차, 도어락, 심지어 애완동물 추적기 등 물리적인 세상의 일상 제품까지 빠르게 확대해 나가고 있다. 스마트 나노센서에서 나노 사물인터넷으로 변화하는 추세는 피할 수 없지만, 이 과정에서 극복해야만할 기술적, 프라이버시 문제 등이 몇 가지 있다.
소비자나 기업 어플리케이션과는 달리, 산업 분야의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중앙집중방식의 데이터 저장 및 처리 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산업용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즉각적으로 반응해야 할 경우가 자주 있는데, 원격지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병목현상에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 이렇게 실시간으로 대응하려면 엣지(Edge)와 클라우드를 결합한 아키텍처가 요구 되는데, 이 모습이 21세기 산업인터넷 구현을 위해 필요한 아키텍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