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코리아는 'GE이노베이션 포럼 2015'를 개최하며 기존 미디어에 의존하는 것을 넘어, 직접 콘텐츠 기획, 기사 작성, 인터뷰, 현장 사진, 영상중계에 이르는 다양한 콘텐츠를 만들어낼 수 있는 좋은 기회로 삼았다. 디지털과 혁신을 논하는 행사에 걸맞게 디지털 콘텐츠와 콘텐츠 혁신을 위한 한걸음을 내딛는 계기가 아니였을까.
‘GE이노베이션 포럼 2015’의 첫 번째 종합 세션의 주제는 바로 산업(사물)인터넷과 제조/혁신 서비스였다. 이 세션에서는 GE글로벌소프트웨어의 빌 루 부사장이 주제 발표를 맡아, GE의 산업인터넷 기술과 제조업의 미래 동향에 대해 발표했다. GE리포트 코리아에서는 빌 루 부사장이 발표한 “GE의 산업인터넷-제3차 산업혁명” 내용을 요약 정리하여 게재한다.
지난 7월 8일 열린 ‘GE이노베이션 포럼 2015’에서는 ‘퓨처오브워크: 한국의 新 성장전략’이라는 테마 아래 ‘산업과 일의 미래-한국’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GE의 수석이코노미스트 마르코 아눈지아타가 작성한 이 보고서는 첨단 기술을 통해 한국의 경제 성장을 제안하는 내용으로, 800명이 넘는 현장 참가자들에게 많은 영감을 제공해주었다. GE리포트 코리아에서 ‘산업과 일의 미래-한국’ 보고서의 내용을 요약, 소개한다.
2015년 7월 8일 열린 “GE이노베이션 포럼 2015”는 저성장 국면에 접어든 한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제안하는 자리였다. “퓨처오브워크 코리아: 한국의 新 성장전략”을 주제로 한 이 포럼에는 GE의 첨단기술과 혁신전략에 대한 궁금증을 가진 800명 이상의 청중이 모여 성황을 이루었다. 사진으로 보는 “GE이노베이션 포럼2015”
“GE이노베이션 포럼 2015”은 “퓨처오브오크 코리아: 한국의 신 성장전략”을 주제로 하고 있다. GE가 제안하는 혁신의 미래상인 퓨처오브워크(‘the Future of Work’)의 개념을 한국 경제 발전 상황에 적용한 보고서가 공개되었다. “GE이노베이션 포럼 2015”에서는 한국 경제와 제조업의 혁신을 위한 중요한 제안이 등장했다. 중소기업의 활성화, 첨단 제조 기술 도입, 열린 협업 등이 가진 가치에 대해 참가자들 역시 공감하며 혁신의 필요성을 공유하는 자리였다.
GE이노베이션 포럼 2015 “퓨처오브 코리아:한국의 신 성장전략”은 한국이 나아길 복잡한 미래에 출구에 대한 지혜와 아이디어를 공유한다. GE코리아 강성욱 총괄사장을 비롯한 한국 경제의 미래를 열어가는 전문가들이 참가한다. 특히 GE 수석이코노미스트 마르코 아눈지아타, GE글로벌소프트웨어 빌 루 부사장, GE글로벌리서치 센터의 다니엘 머펠드 선행기술개발 전무가 참여하여, 미래 변화를 한발 앞서 준비해왔던 GE의 혁신 기술과 오픈 이노베이션에 대한 경험을 공유한다.
'퓨처오브워크 코리아: 한국의 신 성장전략'을 주제로 열린 'GE 이노베이션 포럼 2015'에서는 혁신적인 미래상인 '퓨처오브워크(The Future of Work)'의 개념을 한국의 경제 상황에 적용한 보고서가 공개되었다. 한국 경제와 제조업 혁신, 중소기업 활성화, 첨단제조기술 도입, 열린 협업 등의 가치에 대해 참가자들 역시 공감하며 혁신의 필요성을 공유하는 자리였다.
세계가 인정하는 GE의 기술력이 있기 전에, 먼저 그 기술에 대한 고민이 있었다. 더 나은 생활을 꿈꾸고, 인간과 자연을 관찰하고, 더 편하고 자유로워지려는 고민. 그것이 있었기에 GE는 오랜 역사에도 불구하고 유연한 혁신과 변화를 거듭할 수 있었다. 그런 GE의 기술과 아이디어, 혁신 전략을 배워보자.
GE 수석 이코노미스트 아눈지아타는 기계와 데이터의 결합인 산업인터넷의 미래를 연구하며 GE의 글로벌 전략을 제안하는 역할을 한다. 그의 제안에서 우리는 미래의 비즈니스에 대한 영감을 얻을 수 있다. 아눈치아타의 예측에 따르면 미래의 일자리는 생산성, 우월한 정보의 흐름, 발전된 교육 시스템에 의해 결정된다고 한다.
글로벌 경제는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까? 단기 예측과 장기 성장 전망은 모두 불확실하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이 있다. 기술이 앞으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는 점이다. GE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마르코 아눈지아타와 GE 제조부문의 수석연구원인 스티븐 빌러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 ‘퓨처오브워크’는 앞으로 기술이 산업을 어떻게 변화시키며 어떤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 분석한다.
GE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마르코 아눈지아타에게 제조기술의 혁신과 미래의 업무방식인 퓨처오브워크(The Future of Work)에 관해 들어본다. 산업인터넷, 첨단제조 기술 그리고 글로벌브레인(크라우드 소싱)으로 대변되는 퓨처오브워크는 앞으로 수년 동안 경제 분야에서 변화의 중심이 될 핵심 개념이다. 그는 이제 우리는 정말로 기본으로 돌아가서 혁신과 기술•인프라•교육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