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대한민국 바이오의약품 대상”에는 어떤 기업이 지원할 수 있나요?
국내에서 바이오 의약품을 개발하는 모든 기업이 지원할 수 있습니다.
다만, 선정된 기업에게는 GE의 배양 및 정제 분야 제품과 기술지원 서비스로 제공되기 때문에, 이를 활용해 실제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는 기업이 적합합니다.
A. 세포치료제를 개발하는 회사도 지원할 수 있나요?
네, 가능합니다. 세포치료제 개발 시 필요한 세포배양 배지 및 배양관련 소모품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당연히 지원 가능합니다.
B. 천연물 의약품을 개발하는 회사도 지원할 수 있나요?
천연물 의약품을 개발하는 경우 GE의 배양/정제 제품과 서비스가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지원 대상이 될 수 없습니다.
2. “대한민국 바이오의약품 대상”에 입상하기 위해서는 어떤 조건을 갖추고 있어야 하나요? (심사기준 및 과정)
가장 중요한 심사 기준은 2018년 10월 초에서 2019년 3월 말까지 프로젝트가 실현 가능한 지 여부입니다.
바이오의약품을 6개월 안에 개발한다는 불가능하죠. 따라서 바이오의약품 개발 전체 공정 중 일부, 예를 들어, 스크리닝, 공정최적화, 혹은 스케일업과 같은 단위 공정의 완성을 기간 내에 달성할 수 있는 기업이 높은 가산점을 받게 됩니다. 물론 그 프로젝트를 통해 완성될 바이오의약품 자체의 가치와 시장에서의 경쟁력도 심사에서 중요한 요소로 다뤄질 예정입니다.
3. “대한민국 바이오의약품 대상”에는 어떻게 지원할 수 있나요?
매일경제의 “대한민국 바이오의약품 대상” 홈페이지에서 지원서를 다운 받아 작성하신 후, science@mk.co.kr로 보내시면 됩니다.
4. 심사는 공정하게 진행되나요?
물론입니다. 매일경제와 한국바이오협회가 위촉한 업계 전문가 5~7인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을 구성하여, 공정하고 투명하게 심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5. 공모전 지원서에는 기업의 핵심 기술 등을 기술하는 란이 있습니다. 기업의 보안 사항이라 제출하기 조심스러운데요, 이에 대한 안전장치는 있는지요?
물론입니다. 지원서에 담긴 내용들은 각 기업의 소중한 정보입니다. 이에 대한 보호를 위해 심사위원을 포함한 지원서를 검토하는 모든 분들께 비밀유지 계약서(CDA)를 받습니다. 기업정보가 심사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도록 철저하게 관리 감독할 예정입니다.
6. “대한민국 바이오의약품 대상”에 입상하게 된 기업들은 어떤 사항들을 이행하게 되나요?
프로젝트 종료 후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셔야 합니다. 결과보고서에는 처음 제출한 계획안과 비교해 어떤 성과가 있었는 지를 보여주고, 수상 받은 GE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사용 내역서 등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7. “대한민국 바이오의약품 대상”에 입상된 기업은 GE의 모든 제품을 제공받을 수 있는 건가요?
그렇지는 않습니다. 입상된 기업에게 제공되는 제품은 GE의 배양 및 정제 공정에서 사용되는 시약 및 소모품에 한정됩니다. 자세한 지원 품목은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배양 및 정제 분야에서 사용되는 장비나 연구 분야에서 사용되는 ECL 솔루션과 같은 시약은 제공되지 않습니다.)
8.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GE제품 이외의 타사제품도 필요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물품에 대한 구매는 어떻게 진행해야 하나요?
입상 기업에게는 GE제품 및 서비스 이외의 현금이나 현물은 지원되지 않습니다. 공정상 필요한 타사 제품이나 재료 등 다른 물품들은 직접 구매하셔야 합니다.
9. 지원하는 사항 중 패스트트랙(Fast Trak) 센터의 기술지원이 포함되어 있는데요, 구체적으로 어떤 기술 지원을 받게 되나요?
패스트트랙 센터의 기술지원은 크게 컨설팅 및 공정개발(PD), 장비이용, 교육 – 이렇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컨설팅 및 공정개발(PD) 서비스
먼저 컨설팅 및 공정개발(PD) 서비스는 패스트트랙 센터가 보유하고 있는 글로벌 경험, 전문인력, 기술력을 토대로 입상 기업이 문제점과 어려움을 해소하고 극복하는 방안을 함께 찾고 도와드리는 기술지원을 말합니다. 이미 많은 글로벌 제약사 및 바이오 기업들이 경험한 세계적 수준의 기술 지원 서비스를 지원받게 됩니다.
GE헬스케어 라이프사이언스의 최신장비 지원
두번째, 패스트트랙 센터는 배양 및 정제 분야의 다양한 최신 장비들을 보유하고 운영하고 있습니다. Wave 25, Xcellerex 바이오리액터 등 최대 200리터 크기의 최신 싱글유즈 테크놀로지가 도입된 배양 장비들은 물론, ÄKTA pcc, ÄKTA pilot600 등 최신의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이 갖춰져 있습니다. 공모전을 통해 입상하게 된 기업들은 GE의 최신 장비들을 사용하여 생산성 향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교육지원 서비스
마지막은 교육지원 서비스입니다. 장기적으로 기업의 성장동력은 내부 인재들의 능력과 경험입니다. 패스트트랙 센터의 바이오프로세스 전문가 인력양성 과정은 기업 인력들이 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지식과 노하우를 전달함으로써 기업의 자립과 안정적인 성장을 지원합니다. 공모전 프로젝트 진행기간은 6개월 밖에 안되는 짧은 기간이지만 이 기간을 통해 성장한 인재들은 장기간 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각 기술지원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gefasttrak.com 에서 확인하세요.
10. 저희가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패스트트랙 센터에서 도와줄 수 있는 지 확인하고 싶습니다. 사전 미팅이 가능한가요?
네, 가능합니다. 032-822-8330으로 전화 주시거나, FastTrak.APAC@ge.com 이메일로 상담 날짜와 시간을 예약 하실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바이오의약품 대상>
● 대한민국 바이오의약품 대상(1등 보건복지부 장관상) 1팀 :
8억원(GE 배양 및 정제 관련 제품 7억/GE Fast Trak 컨설팅 및 기술지원 최대 1억 가능)
● MK혁신상(공동 2등 매경미디어그룹 회장상) 1팀:
6억원(GE 배양 및 정제 관련 제품 5억/GE Fast Trak 컨설팅 및 기술지원 최대 1억 가능)
● GE에디슨상(공동 2등 GE헬스케어코리아 CEO상) 1팀 :
6억원(GE 배양 및 정제 관련 제품 5억/GE Fast Trak 컨설팅 및 기술지원 최대 1억 가능)
● 라이징스타상(3등 한국바이오협회 회장상) 7팀 :
7천만원(GE 제품 및 Fast Trak 컨설팅 서비스 최대 7천만원 지원 가능)